0948e8e8c941014a6e77813c040a7176_1750234283_3525.png
0948e8e8c941014a6e77813c040a7176_1750235125_7809.png
25373e1c40890ea79515a7f12c950a37_1750987499_9911.png


강남베드로병원 SNS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갑상선기능 항진증이란?

“갑상선 중독증”은 혈액 중에 갑상선호르몬이 과도하게 많아져 이로 인해 여러 가지 증상이 생기는 상태를 말합니다.

“갑상선기능 항진증”은 갑상선에서 갑상선 호르몬(T4, T3)이 과잉 생산되고 분비되어 대사가 항진되면서 우리 몸에 갑상선 중독증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땀이 많아지고 체중이 급격히 빠진다면
의심해봐야 합니다.
갑상선기능 항진증 원인

갑상선기능 항진증을 일으키는 가장 주된 원인은 “그레이브스병”으로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60~80% 정도를 차지합니다. 그레이브스병은 자가면역질환 중 하나로, 어느 날 갑자기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갑상선을 자극하여 갑상선호르몬을 과도하게 생산, 분비하면서 항진증이 생기게 됩니다. 이외에도 뇌하수체 선종이 있어 갑상선 자극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갑상선기능 항진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영양막 종양에서 인간융모성선자극호르몬 (humanchorionicgonadotropin, hCG)이 과도하게 분비되면 갑상선이 자극되어 갑상선기능 항진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약물, 갑상선의 중독성 선종 등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갑상선기능 항진증 증상


  • 1
  • 더위를 잘 타고 땀이 증가한다.
  • 2
  • 음식 섭취량에 비해 살이 안 찐다.
  • 3
  • 변이 묽어지거나 대변 회수가 잦아진다.
  • 4
  • 눈 주위가 붓고 눈이 돌출된다.
  • 5
  • 예민, 흥분, 미세 경련이 있다.
  • 6
  • 불면증이 생긴다.
  • 7
  • 피로감, 불안감 및 초조함이 있다.
  • 8
  • 가슴이 두근거리고, 심박수가 갑자기 빨라지거나 일정하지 않다.
  • 9
  • 여성의 경우 월경이 불규칙해지면 월경 감소 또는 무월경이 생긴다.
갑상선기능 항진증 검사

갑상선기능 항진증은 갑상선기능검사라는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을 내립니다. 갑상선기능검사에서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높게 나타나며, 보다 정밀한 검사를 위해서 자가면역항체인 Microsomal Ab 와 TSI 검사를 추가로 진행하게 됩니다.

또한 갑상선 촉진을 통해 갑상선 크기, 촉감, 대칭성 등을 관찰하고 갑상선 초음파 검사를 통해 갑상선 결절(혹) 유무를 확인하게 됩니다. 갑상선 결절이 발견되면 감별 진단을 위해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기능 항진증 치료법 3가지
약물요법
  • 항갑상선제를 복용해 갑상선 호르몬을 억제하는 방법입니다.
  • 피부발진, 두드러기, 가려움증, 일과성 백혈구감소증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매우 드물지만 무과립구증이나 중독성간염과 같은 중증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 따라서 갑자기 고열(보통 39도 이상), 인후통, 황달이 발생하면 약 복용을 중단하고 즉시 내원해야 합니다.
수술요법
  • 수술을 통해 갑상선의 일부 혹은 전체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 수술 후 갑상선기능 저하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갑상선호르몬을 복용해야 합니다.
방사성 요오드 요법
  • 방사성 요오드를 복용하여 갑상선을 파괴하는 방법입니다.
  • 이 과정에서 침샘염, 위염, 갑상선기능 저하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기능 저하증이란?

“갑상선기능 저하증”이란 갑상선호르몬의 부족으로 인해 대사가 저하되어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갑상선을 공격하여 갑상선 호르몬 생성이 감소하는 “하시모토 갑상선염”에 의해 갑상선기능 저하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여 생기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
추위를 심하게 타고 체중이 이유 없이
오른다면 의심해봐야 합니다.
갑상선기능 저하증 원인

소아에서는 갑상선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거나 갑상선 호르몬 합성 과정에 장애가 있는 경우 나타납니다. 청소년과 성인에서 가장 흔한 원인은‘하시모토 갑상선염(자가면역성 갑상선염)’에 의해 갑상선 자체에서 갑상선 호르몬의 생산이 줄어드는 경우입니다.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이 있는 경우도 갑상선 자극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아 이차적으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을 제거한 경우 역시 호르몬이 생성되지 못하므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생깁니다.

갑상선기능 저하증 증상


  • 1
  • 6개월 이상 지속적인 피로 증상이 나타난다. (만성피로 증후군)
  • 2
  • 식욕이 떨어진다.
  • 3
  • 체중이 증가한다.
  • 4
  • 대변횟수가 감소한다. (변비로 진행)
  • 5
  • 추위에 예민해진다.
  • 6
  • 생리양이 많아져서 빈혈이 나타난다.
  • 7
  • 피부가 거칠어지고 윤기가 없어진다.
  • 8
  •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 나타난다.
  • 9
  • 기억력이 점점 감퇴한다.
갑상선기능 저하증 검사

갑상선기능 저하증은 갑상선기능검사라는 혈액검사를 통해 진단을 내립니다. 갑상선기능검사에서 갑상선 호르몬이 정상 혹은 감소해 있고, 갑상선자극 호르몬 수치가 증가되어 있습니다.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자가면역항체인 Microsomal Ab, thyroglobulin Ab 검사를 추가로 진행하게 됩니다. 또한 갑상선 촉진을 통해 갑상선 크기, 촉감, 대칭성 등을 관찰하고 갑상선 초음파 검사를 통해 갑상선결절(혹) 유무를 확인하게 됩니다. 갑상선 결절이 발견되면 감별 진단을 위해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기능 저하증 치료

갑상선기능 저하증은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해 생기는 질환이므로, 호르몬 복용을 통해 인체 내 부족한 갑상선 호르몬을 보충해주면 증상이 호전됩니다. 단, 갑상선기능 저하증으로 인해 이미 비만, 서맥, 빈혈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했을 경우 갑상선기능 저하증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 외에도 부수적인 치료가 장기간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에 언급한 갑상선기능 저하증 증상이 반복되고 있다면, 적극적인 치료를 통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